미래를 위한 돈공부
직장 미래를 위한 돈공부
현재 우리에게 '노동'은 어떤 의미일까요? 과연 노동을 통해 부자가 될 수 있을까요? 아마 많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다'라고 대답할 것 같습니다. 지난 몇 년 간 부동산 등 자산의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르며 상대적으로 근로소득에 대한 기대감이 현저히 낮아졌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인식을 잘 보여주는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되며 큰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과연 직장인들은 '부자' 그리고 '노동'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을지 함께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해당 설문조사는 잡코리아가 직장인 619명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요즘 부자의 기준과 본인의 재산 목표'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첫 번째 질문은 바로 '얼마가 있어야 부자일까?'였습니다. 이 질문에 대해 직장인들은 '40억 원'은 있어야 부자라..
더 읽기
경제 미래를 위한 돈공부
현재 우리에게 '노동'은 어떤 의미일까요? 열심히 일해서 번 돈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은 어떨까요? 아마 그리 긍정적일 것 같지는 않습니다. 지난 몇 년 간 부동산 등 자산의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르며 상대적으로 근로소득에 대한 기대감이 현저히 낮아지고 있는데요. 열심히 일했지만 '벼락 거지'가 되고, 열심히 모았지만 내 집 하나 마련할 수 없는 현실에 좌절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 문제를 가장 심각하게 느끼는 것은 아마 20대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이들 중 많은 숫자는 아직까지 구직을 하며 사회에 발을 딛지 못하고 있고, 혹은 사회 초년생으로 자산 가격이 오르는 것을 눈뜨고 지켜볼 수밖에 없었죠. 이런 상황에서 과연 20대들은 노동과 일자리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요? 이 질문에 답하..
많은 중년들의 고민 중 하나는 노후 준비입니다.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2020년 3월 대한민국에서 은퇴하지 않은 가구 중 8.2%만 노후 준비가 잘 되었다고 응답했고, 54.8%는 노후 준비가 잘 되어있지 않다고 답했는데요. 현재 소득 자체가 적어, 혹은 자녀의 교육비나 집 구매 비용 때문에 노후 준비가 사실상 어려운 면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100세, 더 나아가 120세 시대에 노후 준비는 필수인데요. 과연 어떻게 노후 준비를 해야 하는 걸까요? 저금리 시대에 저축으로 노후 준비를 해도 될지, 아니면 위험 자산인 주식으로 노후가 대비될지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노후 준비에 관한 조언은 미래에셋의 김경록 투자와연금센터 대표가 해준 것인데요. 과연 10년 이상 연금 분야에 ..
누구나 부자가 되고 싶어 합니다. 그리고 단순히 ‘돈을 많이 벌면 부자가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죠. 그러나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돈을 많이 버는 것 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돈이 무엇인지, 돈에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고 돈을 끌어들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돈의 속성’을 공개한 한 사업가가 있습니다. 바로 스노우폭스의 김승호 회장입니다. 김회장은 1987년 대학교를 중퇴한 후 미국으로 건너간 뒤 식품점, 이불 가게, 지역 신문사, 컴퓨터 조립회사 등을 운영하며 실패를 거듭했는데요. 2005년 식당 체인을 인수한 후 전 세계 11개국 3,878개 매장, 1만여 명의 임직원을 보유한 회사로 키워냈습니다. 그는 종잣돈 천만 원을 들고 이 돈을 불려 나갔는데요. 그 과정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