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위한 돈공부
경제 미래를 위한 돈공부
'카푸어(car poor)'를 아시나요? 카푸어는 본인의 경제력에 비해 비싼 차를 구매해 어려움을 겪는 사람을 뜻합니다. 요즘 유튜브에는 카푸어들이 많이 등장하며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300만 원을 벌어 220만 원을 차량에 쓰는 사람, 마이너스 통장과 대출 등으로 8,000만 원 상당의 BMW 차량을 구매한 무직 상태의 남성, 중고차 딜러를 하며 벤츠 중에서도 고가인 AMG GTS를 중고로 구입했지만 사업이 망하며 한 순간에 카푸어가 된 20대 남성 등이 알려지기도 했죠. 오늘 소개할 남성 또한 카푸어인데요. 차 욕심을 버리지 못해 결국 파혼까지 당한 사연이 알려지며 큰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 사연은 '카푸어 결혼 파투 난 실화 풀어본다'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공개되었습니다. 이 글은 카푸어의 친..
더 읽기
우리나라에서 가장 비싼 땅은 어디일까요? 많은 사람들이 강남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가장 비싼 땅은 명동에 있습니다. 바로 네이처리퍼블릭 건물이 들어서 있는 부지인 충무로 1가 24-2번지입니다. 이곳은 2021년을 기준으로 1제곱미터에 2억 650만 원의 표준지 공시지가가 매겨져 있죠. 1평 가격이 무려 6억 8,145만 원인 것이죠. 이 명동 부자들을 만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신한은행 명동역 지점에서 근무하는 고미숙 자산관리사입니다. 고미숙 자산관리사는 20년 차 베테랑 자산관리사인데요. 100억 원 대의 의류도매업자부터 1000억 원대 자산운용가까지 만나보며 이들의 성공 법칙을 탐구했습니다. 오늘은 고미숙 자산관리사가 실제로 만나본 부자들은 어떤 사람인지 알..
직장 미래를 위한 돈공부
많은 직장인들은 '연봉 1억'을 꿈꿉니다. 연봉 1억 원을 받으면 상위 5% 이내에 들어간다고들 하는데요. 이에 가정의 형편도 나아지고, 여유로운 생활을 할 수 있을 거라는 막연한 생각이 들 것 같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연봉 1억 원을 받는 사람들의 생각은 조금 다른 것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생각만큼 그리 풍족한 삶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를 잘 보여주는 한 직장인의 사연이 소개되며 큰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1. 많은 직장인들이 꿈꾸는 '연봉 1억' 35세 직장인 A씨는 현재 결혼해서 두 살 딸을 키우고 있으며, 맞벌이를 하고 있는 중입니다. A씨는 현재 지방에 살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집 구입으로 인해 고민을 많이 하고 있는 상태라고 하네요. A씨는 취업하기 전 '연봉 1억'은..
많은 연애는 결혼으로 끝납니다. 그러나 연애와 결혼은 매우 다르죠. 서로 배려하고 아껴주는 것으로 끝나는 연애와는 달리 결혼에는 '돈 문제'가 개입되어 있습니다. 신혼부부는 집을 마련해야 하고, 살림살이를 사야 하며, 공동의 경제 목표를 가지고 살아야 합니다. 돈 문제의 시작은 바로 결혼 자금인데요. 사실 결혼 자금에 대한 문제는 서로 터놓고 이야기 하기 매우 힘든 주제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를 잘 보여주는 한 설문조사가 있어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바로 결혼정보회사 듀오에서 실시한 것입니다. 과연 듀오의 설문조사는 어떤 내용이며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요? 참고로 이 설문조사는 미혼남녀 총 500명 (남성 250명, 여성 250명)을 대상으로 한 것입니다. 1. 이 정도 결혼자금은 들고 와야죠 과연 미혼..
지난해부터 개인 투자자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저금리 시대, 그리고 코로나19로 인해 소득이 줄어든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이 자산 증식의 수단으로 주식 투자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사실 주식은 '위험 자산'의 일종인데요. 이에 이익이 날 수도 있지만 손해를 볼 수도 있는데요. 이로 인해 고민이 생긴 한 여성의 사연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30대 여성 사연자 A씨는 결혼한 지 1년 정도 되었습니다. A씨는 직장에 다니며 월급을 받고 있고, 남편은 자영업자라고 하는데요. 요즘 코로나19로 인해 수입이 많이 떨어진 상태입니다. 거리두기 4단계에 들어가며 남편은 직원도 없이 한 달에 한 번 쉬며 열심히 일하고 있다고 하네요. 요즘에는 둘이 합쳐 월 500만 원 정도 벌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A씨 부부에..
전세가가 상승하고, 소형 임대 부동산의 매매가가 연일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경매 시장에서는 낡은 주택이나 상가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경매로 오래된 상가나 주택을 싸게 낙찰받아 리모델링을 한 후 다시 팔아 수익을 챙기는 것이죠. 한 달에 전국적으로 단독주택 경매 물건이 3,000여 건 정도 쏟아지고 수도권에는 300~500여 건 정도의 매물이 공급되다고 하는데요. 이에 많은 사람들이 경매 리모델링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경매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이런 사례가 많이 들려오고 있는데요. 시세의 80% 정도의 경매가에 주택을 산 뒤 총 2,000만 원을 투자해 리모델링을 하는 것이죠. 이후 이 집을 매물로 내놓아 경매를 위해 대출받은 돈의 이자와 리모델링 비용 등을 빼고 4~5개월 만에..
주식투자는 대한민국 가계에서 ‘자산 증식’의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식 투자를 하지 않는 사람들을 찾아보기 힘들고, 많은 가계에서 주식 투자로 돈을 벌고자 하죠. 그러나 이로 인해 부부간의 불화가 생기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부부가 주식 투자의 방법이나 시장을 보는 관점이 다른 것이 큰 이유 중의 하나이죠. 그리고 얼마 전 이런 고민을 한 한 남성의 사연이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과연 사연자는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 함께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36세 남성 사연자 A씨는 결혼 한지 한 달 된 신혼입니다. A씨는 아내와 서로 경제 사정을 대충은 알지만 아직은 신혼 초기라 모든 재정이 투명하게 공개가 된 상태는 아니라고 하네요. A씨 부부는 둘 다 전문직이라 현재는 금전적으로 큰 문제가 없..
자산을 증식하는 투자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작년부터 투자 시장을 주도했던 주식, 올해 초 시장을 강타했던 암호화폐, 그리고 지난 몇 년 투자자들에게 큰 수익을 가져다주었던 부동산 등이 대표적이죠. 그러나 투자자들은 이 모든 것을 할 수는 없습니다. 투자금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집 사서 몇 억 벌었다는 말을 들으면 내 집 한 채 정도는 먼저 마련해두어야 할 것 같고, 세금이나 유동성 등을 생각하면 주식을 해야 할 것 같기도 한데요. 얼마 전 한 여성 또한 비슷한 고민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알려지며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1. 집값 폭등, 집이냐 주식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10년이 넘게 호주 브리즈번에서 살고 있는 미혼 여성 A씨는 현재 유치원에서 5년째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1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