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위한 돈공부
직장 미래를 위한 돈공부
고소득을 벌 수 있는 전문직.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꿈의 직업입니다. 세무사도 그중의 하나인데요. 세무사는 '조세 전문가'라고도 불리며 세금에 관련된 다양한 업무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세금은 그 누구도 피해 갈 수 없는 것인데요. 이에 수요층이 넓고 꾸준하게 있으며, 개업을 하면 정년퇴직 걱정도 덜 수 있기에 안정적인 미래와 고소득 두 가지를 다 잡을 수 있는 전문직이기도 하죠. 1. 연봉 5,000은 기본, 억대 연봉까지 가능한 전문직 2020년 잡코리아의 조사에 따르면 세무사의 연봉 중윗값은 6,372만 원이라고 합니다. 하위 25%조차 5,018만 원을 받으며, 상위 25%를 제외한 하위 75%는 7,432만 원을 받는다고 하네요. 2. 10명 중 3명만 합격 고소득을 올릴 수 있는 직업인 세무사...
더 읽기
'니트족'을 아시나요? 니트(NEET)족은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의 줄임말인데요.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 무직자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 3월 발표한 '국내 니트족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니트족은 43만 6,000명으로 2019년 대비 8만 5,000명가량 늘었다고 하는데요. 니트족이 전체 청년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2016년 2.8%에서 2020년 4.9%로 4년 만에 2.1% 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아마 구직자라면 누구나 얼마 간은 니트족으로 산 경험이 있을 것 같습니다. 최근 잡코리아에서 2030 남녀 직장인 2,32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며 취업 시장이 꽁꽁 얼어붙었습니다. 이에 취업 준비생들은 매우 불안감을 느끼고 있죠. 취업 경쟁률이 세지면서 취업 문화도 비정상적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취업 문화에 취준생들도 지쳐가고 있죠. 오늘은 우리나라의 비정상적인 취업 문화에 대해 소개할 텐데요. 이는 구인구직 플랫폼 사람인에서 구직자 1,07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복수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과연 어떤 답변이 나왔을지 함께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5위 공무원 시험 올인 (28.1%) 응답자의 28.1%는 공무원 시험에 올인하는 취업 문화를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종합교육기업 에듀윌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공시생 5명 중 1명은 코로나19 이후 사기업 채용이 줄어서 공무원 시험을 준..
많은 직장인들이 이직을 꿈꾸고 있습니다. 직장인들이 이직을 희망하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그 중의 하나는 바로 '연봉'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실제로 취업정보 플랫폼 인크루트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이직을 원하는 직장인의 30.9%는 이런 이유로 이직을 준비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만큼 돈은 이직에 있어서 큰 동기 부여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1. 전 직장 연봉 '뻥튀기' 한 A씨 오늘 소개할 직장인 A씨 또한 '연봉 인상'을 희망하며 이직을 하게 되었는데요. 다소 욕심이 과했던 것일까요? 이직하며 거짓말을 하게 되었습니다. 바로 전 직장의 연봉에 대해 다소 과장해서 말한 것이었죠. A씨가 이력서를 제출할 때 전 직장의 연봉을 기입하는 칸은 없었고, 희망 연봉만 적어서 냈다고 하는데요. 이후 면접을 ..
직장생활은 쉽지 않습니다. 이에 대한 이유는 사람들마다 다를 것 같네요. 어떤 사람은 야근, 주말 근무 등 몸이 힘들고, 또 어떤 사람들은 상사의 갑질이나 폭언 등 인간관계에 어려움을 겪죠. 각종 부당한 일도 많이 겪는데요. 아무리 열심히 해도 제대로 보상받지 못하고, 내 잘못도 아닌데 억울하게 혼날 때도 있습니다. 슬럼프가 올 수도 있습니다. 반복되는 업무가 너무 지겨워 출근하기 싫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인의 82%가 사표 내고 싶은 충동을 느껴본 적이 있다고 답했죠. 그러나 누구나 이런 생각을 실행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은 퇴사에 대해 생각만 하고 이를 실행에 옮기지는 않죠.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왜 퇴사 용기를 내지 못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