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올려 이직했는데 한숨만 나옵니다' 직장인의 이직 후회 순간 TOP 5

많은 직장인들이 이직을 꿈꾸고 있습니다.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가 직장인 1,12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인의 거의 대부분인 94.7%가 '최근 이직을 생각한 적이 있다'라고 답했는데요. 그만큼 현재 직장에 대해 완전히 만족하는 직장인은 없다는 뜻으로 볼 수도 있겠네요.

그러나 이직을 한다고 해서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직 시도를 후회하는 직장인들도 많이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이직 시도를 한 직장인 10명 중 3명은 이직 시도를 후회한다고 하는데요. 과연 이들은 왜 이직 시도를 후회하는 걸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변 또한 동 설문조사에서 알 수 있었는데요. 직장인들이 이직 시도를 후회하는 이유 TOP 5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5위 직전 회사의 성장 (12.3%)

내가 매도한 주식 종목의 가격이 오르면 이는 돈을 잃은 것보다 더 마음이 쓰라립니다. 마찬가지로 이직한 이후 전 회사가 성장해 눈에 띄는 성과나 보상 소식을 들었을 때 이직 시도를 후회할 수 있습니다. 12.3%의 직장인들이 이 답변을 내놓았네요. 특히 이직 직후 전 회사에서 성과급을 지급하는 경우 '조금 더 남아 있을 걸'이라는 후회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4위 이직한 회사의 워라밸이 나쁠 때 (17.2%)

이직을 생각하고 있는 많은 직장인들은 '연봉에 대한 불만'을 그 이유로 꼽고 있습니다. 이에 현재보다 연봉을 더 많이 주는 회사로의 이직을 꿈꾸고 있죠. 연봉만 보고 이직한 회사. 그러나 이 회사의 워라밸이 나쁘거나, 업무 강도가 높다면 이직을 후회합니다. 17.2%의 응답자가 이 답변을 내놓았습니다. 

 

3위 이직 후 급여, 직급 등의 처우가 오히려 더 나빠졌을 때 (30.5%)

많은 직장인들이 현재 회사에서 비전이 보이지 않아 이직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직 후 처우 협의 과정에서 난관이 봉착하는 경우가 많이 있죠. 이직에 성공했지만 생각보다 연봉이 많이 오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혹은 집에서 너무 먼 회사, 워라밸 보장이 되지 않는 회사에서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회사로 이직을 하는 경우 급여나 직급 등의 처우가 나빠지는 경우가 있는데요. '조금 힘들더라도 이직 안 할 걸'이라는 후회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2위 결과가 좋지 못할 때 (42.2%)

이직 시도 후 가장 난감한 상황은 바로 이직에 실패하는 경우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혹여나 자신이 이직을 시도했다는 사실이 알려졌을 경우 더욱 난감하죠. 회사에서 이직 시도 사실을 모른다고 해도 이 경우 현재 다니는 회사에 마음이 떠났을 가능성이 있는데요. 이에 일은 손에 잡히지 않고, 허탈감만 들곤 합니다.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인의 89.4%가 이직에 실패한 적이 있다고 답했는데요. 이직에 실패한 직장인 92%는 자신감 하락, 의욕 상실, 업무 집중 불가 등 이직 실패에 따른 후유증을 겪었다고 하네요.

 

1위 이직 후 결국 그 회사가 그 회사라는 걸 느꼈을 때 (44.5%)

열심히 이직 준비를 해 이직에 성공했다면 직장인들은 그걸로 만족하는 걸까요?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새로운 회사에 적응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결국 그 회사가 그 회사'라는 것을 느끼며 이직에 후회하는 경우도 많이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이직을 해서도 인간관계는 힘이 들고, 회사의 일처리는 비합리적이며, 비전은 보이지 않다고 불만을 토로하는 직장인들이 많습니다. 이런 후회를 하지 않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직에 대한 목표를 정확히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급여나 복지, 회사 분위기, 적성 등을 모두 만족시키는 직장은 없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눈앞의 외부 조건만을 맞춰 입사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자신이 진정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판단한 후 이에 맞춰 이직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